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7 |
8 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
15 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
22 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29 | 30 | 31 |
- JPA 낙관적락
- Redis
- 스프링 로그
- 개발
- JPA Lock
- 안드로이드
- 디자인 패턴
- JPA
- 캠프
- Transaction isolation level
- JPA 비관적락
- 낙관적락 비관적락 차이
- JPA 동시성
- 스프링 log
- flask
- annotation
- Optimistic Lock
- spring security
- 스프링
- 암호화
- component
- 서버개발캠프
- Inno DB
- bean
- 스마일게이트
- spring security 인증
- spring
- Android
- Pessimistic Lock
- 서버
- Today
- Total
모르는게 많은 개발자
[스프링] 멀티 모듈(Multi Module) 개념/예제 feat. Gradle 본문
최근 진행하는 토이 프로젝트의 API 서버는 서로 독립된 프로젝트 2개로 이루어져있었다.
- 인증 서버
- 어플리케이션 서버
처음에는 기능 구현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각자의 프로젝트 크기도 크지 않아서 불편함을 느끼지 못했다. 하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크기가 커지면서 domain
을 각각 프로젝트에 선언했기 때문에 동일성을 보장하기 위해 똑같은 작업을 두개의 Applicaton
에 작업을 해줘야했다. 또한 공통적인 Repository
도 각 Application
에서 작성해줘야하는게 여간 번거로운게 아니었고, 똑같은 코드가 생긴다는게 썩 마음에 들지 않았다.
그리고 알아보던중 멀티 모듈(Multi Module)에 대해 알게 되었다.
이번 글에서는 멀티 모듈 개념/예제에 대해 알아보자.
멀티 모듈 이란?
멀티 모듈이란 서로 독립적인 프로젝트(인증
, 어플리케이션
)를 하나의 프로젝트로 묶어 모듈로서 사용되는 구조를 말한다.
멀티 모듈을 사용하면 공통적인 기능을 모아 하나의 모듈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. 즉, 인증과 어플리케이션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util
, domain
, Repository
등을 모듈로 분리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.
멀티 모듈에 관련해 더 자세하게 알고 싶은 경우 아래 글을 참고하길 바란다.
https://techblog.woowahan.com/2637/
멀티 모듈 간단 예제
이제 간단하게 Gradle을 사용해 멀티 모듈 프로젝트를 만들어보자.
먼저 모듈들을 모을 Gradle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어주자.
MacOS IntelliJ 기준 File→New→Project 경로에 위의 사진처럼 Gradle 프로젝트를 하나 생성한다.
그럼 위와 같은 구조의 프로젝트가 생성된다. 일단 모듈을 담을 프로젝트이기때문에 src폴더가 필요없기 때문에 src폴더는 삭제해주자 그리고 build.gradle
아래와 같이 입력한다.
buildscript {
ext {
springBootVersion = '2.4.3'
}
repositories {
mavenCentral()
}
dependencies {
classpath("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ot-gradle-plugin:${springBootVersion}")
classpath "io.spring.gradle:dependency-management-plugin:1.0.11.RELEASE"
}
}
allprojects {}
subprojects {
apply plugin: 'java'
apply plugin: 'org.springframework.boot'
apply plugin: 'io.spring.dependency-management'
group = 'kr.multi.ex'
version = '1.0'
sourceCompatibility = '11'
repositories {
mavenCentral()
}
dependencies {
compileOnly 'org.projectlombok:lombok:1.18.16'
annotationProcessor 'org.projectlombok:lombok:1.18.16'
test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ot-starter-test'
testImplementation(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ot-starter-test') {
exclude group: 'org.junit.vintage', module: 'junit-vintage-engine'
}
}
}
위의 큰 3개의 Closure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
buildscript
: Gradle
이 빌드되기전 실행되는 설정
allprojects
: 현재의 root
프로젝트와 앞으로 추가될 서브 모듈
에 대한 설정
subprojects
: 전체 서브 모듈
에 해당되는 설정
이제 모듈들을 생성해보자. 모듈은 core
, api
를 생성해보자.
core
는 spring-boot-starter
의존성을 가지고 있고 이것을 api
가 사용할 수 있게 해보자.
root
폴더를 우클릭 → New → Module을 클릭해서 Gradle Module을 생성해주자
생성하면 다음가 같은 폴더 구조가 될 것이다.
이제 settings.gradle
을 보면 다음과 같이 방금 생성한 core
가 include
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. 이것은 하위 모듈로 선언한다는 의미이다.
IntelliJ의 Gradle Tab에서도 보면 다음과 같이 core
가 root
하위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core
의 build.gradle
에 아래처럼 의존성만 추가하자
//core build.gradle
dependencies {
compile 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ot-starter-web:2.6.1'
}
bootJar {
enabled = false
}
jar {
enabled = true
}
여기서 중요한 것은 bootJar
와 jar
다 bootJar
은 실행가능한 jar
를 만들려 하기 때문에 main()
이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main()
이 없는 core
는 enabled
를 false
로 해줘야하고 결론적으로 저걸 넣지 않으면 추후 core
에 있는 Bean Class
를 다른 모듈에서 사용할 때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.
그리고 의존성을 추가할 때 implementation
대신 compile
을 사용했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밑에서 설명하겠다
이제 gradle
을 갱신하면 root
의 build.gradle subprojects
에 선언한 lombok
과 spring-boot-starter
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바로 api
모듈도 core
가 똑같은 과정을 통해 만들면 다음과 같은 구조가 될 것이다.
api
의 build.gradle
은 다음과 같이 아무런 의존성을 넣지 않았다.
//api build.gradle
dependencies {}
이제 root
의 build.gradle
맨 아래에 다음을 추가해보자.
project(':api') {
dependencies {
implementation project(':core')
}
}
api
모듈에 core
의 의존성을 추가하라는 의미이다.
갱신해보면 아래처럼 api
에 spring-boot-starter
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이제 api
에서 @SpringBootApplication
을 선언했을 때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.
core
에 Bean Class
를 만들고 api
에서 호출하는 예제는 다음과 같다. 간단하게 @Service
Bean을
만들어 테스트한 코드다.
//core 모듈
@Service
public class TestService {
public String test() {
return "core의 Bean Class 테스트";
}
}
//api 모듈
@RestController
@RequiredArgsConstructor
public class TestController {
private final TestService testService;
@GetMapping("/test")
public String test() {
return testService.test();
}
}
구조로 보면 다음과 같다.
이제 api
를 실행후 /test
를 호출하면 아래의 결과를 볼 수 있다.
여기서 주의할 점은 core
와 api
의 패키지 구조다. 현재 상위 패키지가 kr.multi.ex
로 통일 된 것을 볼 수있는데 이렇게 통일하지 않으면 api에서 core의 bean을 읽어오지 못해 에러가 발생한다.
만약 위처럼 api
의 패키지를 kr.multi.ex2
로 변경하면 패키지가 공통이 되지 않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에러를 호출한다.
좀 더 정확히 말하면 Application
클래스의 위치한 곳의 패키지가 공통으로 맞춰져 있어야한다. 만약 패키지를 못맞춘다면 아래와 같이 scanBasePackages
옵션을 통해 Bean
을 스캔할 수 있다.
@SpringBootApplication(scanBasePackages = "kr.multi")
public class ApiApplicatio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pringApplication.run(ApiApplication.class);
}
}
core의 의존성을 compile로 선언한 이유
위에서 core
의존성을 추가할 때 compile
을 사용했는데 그 이유는 implementation
은 직접 의존하는 모듈(core
)외에서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.
즉 core
의 spring-boot-starter
를 implementation
으로 선언할 경우 api
에서는 spring-boot-starter
를 가져오지 않는다.
위처럼 core
의 의존성을 implementation
으로 할 경우 api
에서는 못가져오는 것을 볼 수 있다.
하지만 compile
은 gradle
에서 권장되지 않는 방식이다. 심지어 현재는 예제의 gradle
은 6.x
버전이라 compile
을 사용할 수 있지만 7.0
버전 이상부터는 compile
을 사용할 수 없다.
그럼 어떻게 해야하나?
7.0
버전 이상부터는 api
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다. api
는 compile
이랑 비슷한 키워드라 생각하면 된다.
만약 gradle
버전을 올리고 싶다면 root
프로젝트 위치에서 해당 명령어를 통해 gradle
버전을 변경할 수 있다.
$ ./gradlew wrapper --gradle-version=7.x
api
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root
build.gradle
의 subprojects
의 다음을 수정해준다.apply plugin:’java’
→ apply plugin:’java-library’
그리고 다음처럼 의존성을 추가하면 된다.
//core build.gradle
dependencies {
api 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ot-starter-web:2.6.1'
}
bootJar {
enabled = false
}
jar {
enabled = true
}
비고
https://kwonnam.pe.kr/wiki/gradle/multiproject
'스프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PA] 낙관적, 비관적 Lock 개념/예제 (0) | 2023.04.02 |
---|---|
[스프링] 로깅 개념/설정 예제(feat. Logback) (0) | 2022.03.21 |
[Kafka] Kafka Connect 개념/예제 (0) | 2021.10.16 |
[Spring Cloud] Eureka 개념 및 예제 (0) | 2021.09.13 |
[스프링] Validation 방법(Validator, Bean Validation) 설명/예제 (0) | 2021.08.07 |